20년 넘도록 지지부진했던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사업이 공공을 중심으로 정상화 단계를 밟기 시작했다. 지자체 주도로 올해 안으로 기반 시설 구축 공사를 마치고 내년에는 섬 외곽 둘레길 등 친수공간 개방을 추진하는 등 공공부지 개발에 가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반면 민간부지 개발은 사업사 선정 관련 송사 등으로 재개 시점이 불투명한 상태다.
16일 경남 창원시에 따르면 마산해양신도시 인공섬(서항지구) 부지 조성 공사 공정률이 98%를 넘어섰다. 마산해양신도시는 마산만 가포신항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준설토로 마산합포구 월포동 일대 마산만 일부를 매립해 인공섬을 조성, 주거·산업·문화·관광 등이 어우러진 복합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전체 64만2000㎡ 규모 부지의 65%는 공공이, 나머지 35%는 민간이 각각 맡는 구조로 설계됐다. 2003년 12월 해양수산부와 협약 체결 후 본격 추진됐으며 사업비 3835억 원이 투입됐다.
시는 12월까지 도로, 녹지,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을 포함한 부지 조성 공사를 마무리한 뒤 내년 7월까지 주민 여가 시설을 조성해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다. 대표 시설로는 △섬 해안선을 따라 걷는 ‘하부 수변 산책로’(길이 3.22㎞, 폭 3~5m) △경사면을 두고 그 위에 조성된 상부 산책로(3.15㎞, 4m) △계절별 수목 등 3개 테마로 이뤄진 ‘연결 녹지’(3.15㎞, 30~40m) △자전거 도로(3.15㎞) △바다 조망공간 3곳 등이 있다.
공공 주도로 진행되는 3개 구역 중 1곳에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조성 사업이 추진된다. 이 사업은 총 3809억 원을 들여 2029년까지 3만 3089㎡ 규모의 부지에 ‘D.N.A.(Data, Network, AI) 혁신타운’을 세우는 게 핵심이다. 혁신타운에는 기업이 입주하는 11개 층과 지원시설 5개 층이 자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지난달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실현 가능성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
14만 ㎡ 규모의 다른 구역에선 한류테마를 갖춘 관광정원 구축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23년 12월 문화관광체육부가 선정한 남부권 광역관광개발 5개 사업 중 하나로, 2028년까지 대형 식물원인 ‘자이언트 테라리움’, 동백나무숲, 잔디마당, 호수정원 등을 건립하는 것이 골자다. 중앙투자심사를 앞두고 진행 중인 사업타당성조사 결과는 12월 나올 예정이다. 사업비는 557억 원이다.
공공 개발 구역 중 남은 한 구역에는 4년 전 추진했던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유치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에는 그동안 스페인 빌바오시 구겐하임미술관과 같은 아트센터를 만들겠다거나 이건희미술관 창원관,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등을 유치하겠다는 장밋빛 계획이 이어졌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문체부는 올 4~11월 지자체가 일부 재원을 분담하는 방식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건립하는 방안에 관한 용역을 진행했으며, 내년에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이 사안은 이재명 정부의 경남 7대 공약에도 포함된 만큼 지역에서는 유치에 관한 기대감이 높다.
반면 전체 부지의 35%에 해당하는 민간 개발 부문은 호텔, 관광시설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우선협상대상자 4차 공모에 단독 신청했다가 탈락한 GS건설 컨소시엄을 상대로 재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해당 컨소시엄이 제기한 ‘미선정 무효 확인 소송’에서 패소한 데 따른 조치다.
시는 이와 별도로 5차 공모에 선정되고도 협상 결렬로 지정 취소된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참여 업체와도 비슷한 성격의 행정 소송을 벌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4차 공모 사업자의 재평가든, 5차 공모 사업자의 행정 소송이든 아직 결정이 난 것은 없다”면서 “더 이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a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