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스타트업 시장의 새로운 투자와 고용으로 이어져 생태계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가 12일 발간한 ‘스타트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정보 공개기업 1200개 사 중 54.2%가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협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의 경영성과를 정량평가한 결과다.
고용정보 공개기업 813개사 중 55.6%의 고용이 증가했으며 재무제표 공개기업 1053개사 중 61.7%가 최근 3년간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다.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은 대기업과의 협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해냈다. 지원사업의 정성평가를 위해 실시한 참여기업 설문조사에서 응답기업 26.5%는 대·중견기업과 비밀유지계약(ND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고 25.5%는 개념검증과 파일럿 등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성과를 거뒀다.
실제 2022년 ‘무협-LS일렉트릭 오픈이노베이션’에 참여한 기업인 나인와트는 LS일렉트릭과 개념검증을 마친 뒤 ‘인에이블’이라는 디지털 에너지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며 상용화하는 단계로 진입했다. 아울러 LS일렉트릭을 포함한 기업형 벤처캐피털로부터 30억 원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스타트업들은 지원을 활용해 해외로 진출하는 성과도 거뒀다.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업인 ‘랩앤피플’은 2023 한일 오픈이노베이션 서밋 등 행사를 계기로 일본 네트워크를 넓혀 유통매장 돈키호테 입점에 성공했다. 최근 미국 드럭스토어인 월그린에도 입점했고 일본 최대 화장품 유통사인 팔텍과 협업을 통해 현지 미용시장 공략도 본격화했다.
이명자 한국무역협회 해외마케팅본부장은 “스타트업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민간 투자가 위축된 시기에도 기관의 역할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무협은 국내외 대·중견기업의 혁신 수요와 스타트업을 연결하는 ‘산업 혁신 허브’로서 네트워크 확대, 해외 테스트베드 발굴,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o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