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거센 개혁 압박을 받고 있는 농협이 ‘뼈를 깎는 자정’ 노력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조직의 수장인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뇌물 수수 의혹 및 ‘보은 인사’ 논란에 연루돼 경영 위기가 증폭되자 대대적인 쇄신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농협중앙회는 10일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범농협 임원 인적 쇄신’으로 환골탈태하겠다”며 전 계열사 임원 중 절반 이상을 교체하고 퇴직자의 재취업을 원칙적으로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방안은 올 12월 인사부터 즉시 적용된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강도 높은 혁신 요구에 부응하는 한편 책임경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전략적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인적 쇄신 방안에 따라 경영 성과가 부진하고 전문성이 부족한 임원들을 대폭 교체할 방침이다. 농협중앙회·유통·금융지주 등 33개 계열사의 대표이사·전무이사 등 임원 100여 명 중 절반 이상의 물갈이가 예상된다. 신규 임원 선임 시에는 내부 승진자 및 외부 전문가 영입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청렴성·도덕성·전문성을 최우선 자질로 삼아 엄격한 인사 검증 절차를 거치도록 했다. 특히 인사 청탁의 온상으로 지목된 퇴직 후 경력 단절자에 대한 재취업 또한 원칙적으로 제한해 국민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또 △지배구조 선진화 △부정부패, 사고 발생 제로화 △합병을 통한 농축협 규모화 △농업인 부채 탕감 계획 등이 담긴 고강도 개혁 방안도 추가로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농협은 총체적 위기를 맞아 이번에 쇄신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경찰은 지난달 15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를 받는 강 회장의 집무실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강 회장이 농협중앙회장 선거에 나선 지난해 1월 전후 계열사와 거래 관계인 용역 업체 대표로부터 1억 원이 넘는 금품을 받았다는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열린 국정감사에서는 농협 상무급 인사 22명 중 18명이 강 회장의 선거 캠프 출신이라는 낙하산 인사 논란까지 불거졌다. 각종 의혹과 논란이 이어지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달 5일 농협중앙회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b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