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한 수업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학생이 챗GPT 등 인공지능(AI)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9일 연합뉴스·뉴스1 등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진행되는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면서 적발된 학생들의 시험 점수를 0점으로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해당 수업은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다루며 600여 명이 수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중간고사는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식인데 응시자는 시험기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촬영해 제출해야 했다. 하지만 일부 학생은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컴퓨터 화면에 여러 프로그램을 겹쳐 띄우는 식으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다.
담당 교수는 이 같은 정황을 파악하고 학생들에게 '자수'를 권유하기도 했다. 지난달 30일에는 연세대 재학생임을 인증한 후 가입할 수 있는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게시판에 이번 사건과 관련해 '양심껏 투표해 보자'는 취지의 투표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에는 스스로 비수강생이라 밝힌 응답자를 제외한 353명 중 '커닝했다'가 190명, '직접 풀었다'가 163명이 투표했다.
해당 수업을 수강한 한 학생은 "대부분 챗GPT를 사용해 시험을 치른다"며 "나만 안 쓰면 학점을 따기 어려울 거라는 계산"이라고 연합뉴스에 밝혔다. 지난 학기 이 수업을 들은 또다른 학생 역시 "저를 비롯해 많은 친구가 AI로 검색해 가며 시험을 봤다"고 털어놨다.
이에 AI 시대의 교육과 평가방식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 소장은 "AI 결과물뿐 아니라 개인 의견을 적어내게 해 비판적 사고를 교육해야 한다"고 했다. 최병호 고려대 AI연구소장은 "대면 발표나 심층 토론 같은 새로운 교육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lypd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