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찰청은 최근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사고 관련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사기 사건이 발생해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9일 밝혔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이나 군부대, 정당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예약한 뒤 다른 업체나 개인에게 대금을 대신 입금토록 유도해 돈을 가로채는 신종사기다.
지난 7일 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의자가 울산의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 전화해 위조된 사원증을 보낸 뒤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 업체를 알려줄테니 구매를 해주면 나중에 결재해주겠다”며 계좌를 보내 입금을 요청했다. 또 음식점에 전화해 도시락 100개를 주문한 뒤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하는 등 피해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입금 계좌와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범인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피해 예방을 위해 지구대와 파출소 등 현장 경찰관이 소상공인 업체를 직접 방문하거나 상인연합회 등을 통한 집중 홍보활동을 하고 있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해당 공공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확인하고, 일정 금액을 예약금으로 요구할 필요가 있다”라며 “대리 결재 명목으로 계좌이체를 요구 시 절대 입금해서는 안 된다”며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j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