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헌혈 영화관람권이 사라진다뇨?"…왜 없어졌나 했더니 ‘단가 논란’ 터졌다

대한적십자사




대한적십자사가 수년째 영화관람권 기초금액을 낮춰 입찰을 진행해오다 결국 영화사들의 참여가 끊기면서, 헌혈자에게 지급되던 영화관람권이 사실상 중단됐다.

적십자사는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헌혈 기념품 중 영화관람권 계약이 잇따라 유찰되면서 더 이상 지급이 어렵다고 3일 밝혔다. 재개 시점도 정해지지 않았다. 이어 “계약이 체결될 경우 즉시 공지하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대체 기념품 체제로 전환된 상태다. 현장에서는 커피·편의점 상품권, 패스트푸드 교환권, 보조배터리 등으로 대체 지급 중이다.

◇ “5000원 단가에 더는 못 버틴다”… 수년째 내려간 입찰 기준가

나라장터 캡처


적십자사는 지난 6월부터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영화관람권 구매 입찰을 진행했지만, 1개 영화사의 단독 응찰로 인해 유찰이 반복되며 계약이 성사되지 않았다.

이는 헌혈 기념품 단가가 5000원으로 고정된 반면 영화표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탓이다.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영화관람권이 연간 8만매나 지급될 만큼 수요가 높았던 기념품이어서 현장에서는 불만도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결국 수년 전부터 누적돼 온 ‘단가 논란’이 터졌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적십자사가 연간 130만 장 규모의 영화관람권을 구매해온 ‘큰손’임에도, 입찰 기초금액을 계속 낮춰왔다는 불만이 극장 측에서 꾸준히 제기돼왔다.

나라장터 캡처


실제 기초금액은 2020년 5800원에서 2024년 하반기 4500원까지 낮아졌다. 2024년 하반기 롯데시네마 계약 당시 티켓 단가는 4000원 수준이었다. 당시 평일 관람료(1만4000원)의 28.6% 가격이다.

영화 관람권 지급 중단 사실이 공지되자 해당 소식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됐다. 누리꾼은 “영화 보려고 헌혈했던 적도 있는데 아쉽다”, “상징적인 게 사라지는 느낌” 등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 6~10월 내내 반복된 유찰… 2026년에는?

나라장터 캡처


나라장터에 6월 19일 공고된 ‘2025년 하반기 영화관람권 구매 입찰’(구매금액 30억9800만원·수량 61만9600매·기초금액 4300원)은 초회 공고와 6월 27일 재공고 모두 무응찰로 유찰됐다. 이후 7월 8일 수의입찰이 동일 조건으로 다시 진행됐지만 유효 입찰자가 없어 2차 재입찰로 넘어갔고, 7월 10일에는 예정가격 초과로 또 유찰됐다. 8월까지도 같은 사유로 반복 유찰됐다.

9월 2일에는 규모를 더 늘린 ‘2026년 헌혈자 영화관람권 구매’ 입찰이 새롭게 올라왔다. 구매 예정금액은 94억 9625만원으로 약 3배 확대됐고, 발주 기초금액도 4800원으로 상향됐지만 결국 단독응찰로 인해 다시 유찰됐다. 해당 사업은 10월 31일자로 재공고가 이뤄졌으며 현재도 나라장터에서 입찰 개시 중인 상태다.

국가 계약 방식에서도 절차 차이가 있다. ‘적격심사제’는 여러 업체가 경쟁 입찰에 들어가 가격·기술·실적 등을 평가한 뒤 기준을 충족한 곳 중 최저가 순으로 낙찰을 정한다.

반면 ‘수의시담(수의계약)’은 단독 응찰 또는 반복 유찰된 경우 기관이 특정 업체와 직접 가격 협상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번 영화관람권처럼 경쟁 성립이 안 되는 상황이 누적되면 자동으로 수의시담 단계로 넘어간다.

이에 극장들은 “영화 콘텐츠 가치에 대한 심각한 저평가”라며 반발했고, 그 결과 멀티플렉스 3사가 모두 참여를 꺼리면서 최근 입찰이 연달아 유찰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CGV와 메가박스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장가의 OTT와의 경쟁 심화, 코로나 이후 산업 축소까지 겹치면서 극장 입장도 더 이상 낮은 단가로 버틸 이유가 없다는 기류가 강하다.

한편 2025년 기준 전국 누적 헌혈 참여자는 220만 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제조업 비상인데… 美中 앞지른 NDC
구리·화성·용인 아파트 가격 급등…비규제지역 풍선효과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