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인공지능(AI) 조직 전반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오픈AI, 구글 등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조직을 효율화하고 개발 속도를 높이려는 마크 저커버그 CEO의 의지가 반영된 조치로 해석된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메타는 AI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핵심 부서인 ‘메타 초지능 연구소(Meta Superintelligence Labs·MSL)’ 소속 직원 약 600명을 감원했다.이는 수천 명 규모로 알려진 메타의 전체 AI 인력 중 상당 부분에 해당한다. 일부 인원은 다른 부서로 재배치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MSL은 올해 6월 메타가 새롭게 출범시킨 핵심 조직으로 △TBD랩 △제품팀 △인프라팀 △페이스북인공지능연구소(FAIR) 등 4개 팀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TBD랩은 저커버그가 ‘AI 초지능(Superintelligence)’ 개발의 전초기지로 삼은 전략 조직으로, 이번 감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저커버그는 MSL 신설 당시 AI 스타트업 ‘스케일AI’의 공동 창업자 알렉산더 왕을 최고AI책임자(CAIO)로 영입하며 대대적인 AI 드라이브를 선언했다. 왕은 구글 딥마인드, 애플, 앤트로픽 등 경쟁사 연구진에게 천문학적인 보상을 제시하며 AI 핵심 인재 확보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이번 감원은 그간의 과도한 인력 확충으로 인한 조직 비대화 문제를 해소하고,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한 ‘선택과 집중’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왕은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팀 규모를 줄이면 의사결정이 단순해지고, 각 개인의 책임과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며 “조직의 민첩성을 회복하는 것이 이번 조정의 핵심 목표”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감원이 메타가 AI 경쟁에서 느끼는 압박감을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메타는 2023년 오픈소스 AI 모델 ‘라마(LLaMA)’를 공개하며 주목받았지만, 이후 18개월간 제품 개발이 지연되고 올해 4월 발표한 ‘라마4’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저커버그가 직접 ‘AI 초지능’ 프로젝트의 속도전을 선언하며 전면적인 조직 재정비에 나선 것이다. 메타 측은 “이번 감원이 AI 사업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초지능 연구는 여전히 저커버그 CEO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shoc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