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 이어 중국도 국영 석유기업 중심으로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에 나섰다.
2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페트로차이나,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 정화오일 등 국영기업은 미국이 러시아 최대 석유기업인 로즈네프트와 루코일에 제재를 가한 이후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멈췄다.
페트로차이나의 한 소식통은 로이터통신에 “미국 제재 우려 때문에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구입을 자제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중국의 독립 정유사들은 구매를 일시 중단할 가능성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구매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해상으로 하루 약 140만배럴의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고 있으며, 물량의 대부분은 '티팟'으로 알려진 소규모 업체를 포함한 독립 정유사들이 구매한다. 중국 국영 석유기업들의 구매 물량 추정치들은 편차가 크다. 에너지·원유 거래 시장 분석업체인 보텍사는 올해 1~9월 중국 국영기업들의 해상 운송 러시아산 원유 구매량을 하루 25만 배럴 미만으로 추정했다. 이에 비해 컨설팅 업체 에너지 애스펙츠의 추정치는 하루 50만 배럴이다.
미국 제재로 인도에 이어 중국까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줄이는 모양새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석유 수입량 절반 가까이를 러시아산으로 채워왔던 인도도 미국의 발표 이후 관련 기업들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줄이도록 비공개로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인도에서 러시아산 원유를 가장 많이 구매해온 민간 기업 릴라이언스는 수입을 대폭 줄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부분의 인도 정유사가 제삼자 거래를 통해 러시아산 원유를 조달해온 것과 달리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는 직접계약을 맺어 미국의 2차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어서다.
다만 로즈네프트와 루코일이 중국에 판매하는 대부분의 원유는 구매자와 직거래가 아닌 중개업체를 통한 거래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내륙 파이프라인을 통해서도 하루 약 90만 배럴의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이 물량은 모두 페트로차이나로 공급된다. 여러 트레이더들은 이 부분은 제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wnrigh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