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개편한 성평등가족부 초대 장관을 맡은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이 “구조적 성차별 문제와 청년 남성의 불이익을 제대로 다루는 부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23일 서울 종로구 종로빌딩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18개월 동안 장관 공백을 겪은 우리 부는 이제 공백의 시간을 넘어 복원의 시간으로 나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남성이 느끼는 대표적인 차별 사례로 ‘병역’을 꼽은 원 장관은 “깊이 있는 성찰을 위해 다양한 청년들이 모이는 공론의 장을 오는 29일부터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5회 개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성평등부에 남성 역차별 관련 대책을 여러 차례 주문했다. 24년 만에 여성가족부에서 이름을 바꿔 단 성평등부가 성별 갈등 당사자의 입장을 균형 있게 반영하라는 취지다. 이에 따라 성별 불균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담 부서인 성형평성기획과도 신설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성평등부가 ‘남성 차별’에 주력하는 과정에서 본 역할이던 여성의 구조적 성차별 의제가 간과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원 장관은 “전체 부처의 업무와 배치를 보면 그러한 우려가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며 “청년 남성의 불이익도 중요한 업무로 생각하고 제대로 다룰 것”이라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사태로 인신매매 문제가 불거진 가운데 인신매매 정책 주무부처로서 성평등부의 적극적인 피해자 지원 활동도 약속했다. 성평등부에 따르면 인신매매 사례판정위원회에서 발급한 인신매매 확인서는 최근 3년간 34건으로 이 중 올해 발급된 건수만 19건에 달한다.
원 장관은 “취임 전 인신매매대응위원회에 참여한 경험을 통해 해외 영사관·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느껴왔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자 로드맵을 세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부처 공무원 300명 내외의 ‘미니 부처’의 장으로서 소감도 전했다. 원 장관은 “직원들에게 ‘일당삼’의 역할을 해 1000명 정도의 부처가 갖고 있는 효능감으로 일해달라고 부탁했다”면서 “지난 3년간 멈췄던 성평등부의 시계를 돌리기 위해 현장을 살피며 신중하게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