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에서 보유한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사용 가능 기간을 넘기는 등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나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환자들은 70만여만원(MRI 전국 평균 가격)을 지불하고도 최대 18년 된 기기로 검사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국립암센터에서 제출받은 '의료장비 노후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비 1169개 중 618개(53%)가 조달청 내용연수(耐用年數·설비 등의 사용 가능 기간)를 초과했다. 618개 중 부품의 단종 등으로 수리가 어려운 내용연수 초과 5년 이상인 의료장비가 426개(69%)에 달했다. 내용연수 초과 10년 이상인 의료장비는 173개였고, 15년 이상인 것도 83개에 달했다.
영상 진단, 일반 검사, 환자 처치 등에 쓰는 진료 필수 장비 871개 중에서도 463개(53%)가 노후화했다. 110개는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장비별로 보면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서 환자를 직접적으로 처치할 쓰는 장비 538개 중 327개(61%)가 사용 가능 기간을 초과했다. 교체 필요 수량은 72개다.
혈액, 소변 등을 검사하는 장비는 169개 중 89개(53%), 영상 진단 장비는 164개 중 47개(29%)가 각각 노후화했다. 교체 필요 수량은 35개, 3개다.
현재 국립암센터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비 5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1대는 2007년 3월에 도입돼 18년째 사용하고 있다. 기준 내용연수 10년을 8년가량 초과한 상태다. 이 때문에 영상 검사 시 품질의 저하, 부품 수급의 어려움과 잦은 고장으로 인한 검사 지연 등이 적지 않다고 국립암센터는 전했다.
의료장비가 내용연수를 초과하더라도 당장 고장이 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노후화된 장비는 고장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한 의원은 "암 관리 중심기관인 국립암센터에서 의료장비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은, 기관의 신뢰뿐 아니라 국민 건강권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라며 "노후 장비는 진단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환자 치료를 지연할 수 있는 만큼 의료장비 전수조사와 교체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훈병원의 의료 장비들도 노후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보훈공단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6개 보훈병원이 보유한 의료 장비의 40% 이상이 내용연수인 7년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