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과 관련해 재발방지대책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민·관 전문가들이 모여 재해복구체계를 정비하고, 안전한 인프라 설계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등 재발을 막기 위해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20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현재 운영 중인 국가인공지능 전략위원회 산하 인공지능(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태스크포스(TF)에서 후속 조치를 논의 중”이라며 “정보시스템부터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구센터 이전 협의와 관련해서는 “작업 시간의 단축을 위해 연계 시스템 유지보수 업체들과 대전센터 거버넌스 비상연락망 체계 만들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구센터로 이전이 확정 된시스템은 복지부 '보건의료인 행정처분시스템', 소방청 '소방예방정보시스템' 등 16개다.
또 중대본은 대전센터 내 복구 대상 시스템 318개 중 1등급인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와 국가보훈부 '통합보훈정보시스템' 등 86개 시스템 추가로 복구 예정이다. 윤 본부장은 “국정자원 7전산실의 스토리지 복구가 마무리돼 데이터 복원 기반이 확보된 만큼 시스템 복구는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으로 709개 시스템 중 52.9%인 375개 시스템이 복구가 완료됐다. 현재 복구 중인 1,2등급 시스템 33개는 대체사이트, 임시 홈페이지, 수기 접수, 처리 등을 통한 대체 수단을 운영하고 있다.
윤 본부장은 “복구가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작업 여건을 세심히 관리하고, 무리한 일정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 달라”며 “끝까지 책임있는 자세로 복구를 완수하고,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