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주거 형태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독주택에 사는 노인은 아파트 거주자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았으며 이는 실내 온도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일본 도쿄과학연구소(Science Tokyo)는 최근 “6년간 약 3만 9000명의 노인을 추적 조사한 결과, 임대 아파트나 자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층의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자가 아파트 거주자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단독주택은 외부에 면한 면적이 넓어 실내 온도가 불안정하고 더 차갑게 유지되기 쉽다”며 “주택 단열 수준을 높이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특히 남성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미 2018년 ‘주택 및 건강 지침’을 통해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은 추운 집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추위가 혈압을 높여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도 지난해 ‘심혈관 질환 임상 진료 지침’을 발표하면서 주거 환경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으로 공식 인정했다.
이번 연구는 평균 연령 73.6세의 일본 고령자 3만 8731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다. 연구진은 주거 형태(자가·임대, 아파트·단독주택)에 따라 심근경색·부정맥·심부전·뇌졸중 등의 사망률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단독주택 거주자는 아파트 거주자보다 실내 온도 변동 폭이 컸고 이에 따라 혈압 상승과 변동성이 두드러졌다. 이전 일본 연구에서도 단독주택의 실내 온도가 아파트보다 낮고 불안정하다는 사실이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
특히 남성에게서 위험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일본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60~70대 남성은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수축기 혈압이 높아 기온 변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WHO가 권장하는 실내 온도인 섭씨 18도 이상을 유지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며 “단열을 개선한 고품질 주택은 노인의 건강을 보호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