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을 뛰어넘는 고강도 부동산 규제가 발표되면서 곳곳에선 불만이 터졌다. 특히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에서는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더해 서울 21개 자치구와 경기 12곳을 전일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은 오는 20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도 지정돼 3중 규제를 직면하게 된다.
그러나 이날부로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으로 재지정된 이들 지역 가운데 38%에 해당하는 8개 구에서 33개월 동안 아파트값은 외려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상계동 '상계주공13단지' 전용 45㎡ 실거래가는 올해 1월 3억7500만원(9층)에서 이달 3억4500만원(8층)으로 내려왔다. 도봉구 번동 '번동주공1단지' 전용 41㎡ 실거래가는 올해 2월 4억5000만원(8층)에서 이달 4억800만원(5층)으로 내렸고 강북구 미아동 '꿈의숲해링턴플레이스' 전용 84㎡ 또한 3월 9억2100만원(14층)에서 9월 9억1000만원(13층)으로 소폭 하락세다.
상황이 이러하자 서울 외곽지역에서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서 영업하는 한 공인중개사는 연합뉴스에 "서울에서도 '한강 벨트'(한강을 둘러싼 지역)를 비롯해 집값이 많이 오른 곳만 규제지역으로 묶을 줄 알았는데,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에 토허구역으로까지 묶인 것은 충격 그 자체였다"며 "당분간 매매가 뚝 끊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