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수도권에 집중된 규제 카드를 내놓으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 15일 ‘긴급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규제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와 추가 대출 규제를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넉 달 만에 나온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이다. 앞선 두 차례 대책에도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정부가 다시 한 번 강도 높은 규제 방안을 내놓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대책에 따르면, 서울 전역과 분당, 과천 등 경기 12개 지역이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묶이게 되며, 이는 16일부터 곧바로 적용된다. 또한 주택담보대출 한도 차등화, 스트레스 금리 하한 상향 조정 등 대출 규제 역시 강화됐다.
이에 업계에서는 비규제지역인 지방으로의 관심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과거 부동산 시장이 규제를 피한 주변 지역의 상승세가 이어졌던 점에 비춰볼 때 서울과 수도권에 규제가 집중되면, 자금과 수요가 비규제 지역인 지방으로 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과거 정부 시절에는 규제지역을 발표할 때마다 이를 피해간 지역의 집값이 오르는 풍선 효과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기도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과거 사례처럼 지방으로의 원정 투자에 나서는 수요층이 상당히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며 "지방에서도 주거 상급지로 손꼽히는 부산이나, 대구 등 대도시권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제2의 도시로 불리는 부산의 경우는 이번 대책 발표 이후 빠르게 온기가 도는 모습이다. 특히 부산의 경우는 규제책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예고가 돌아다닌 10월 초부터 신고가 거래가 곳곳에서 이뤄지며, 시장에 반영된 기대감을 실감케 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연제구에서는 ‘레이카운티(1단지)’ 전용 84㎡가 지난 1일 10억4,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동래구에서는 ‘사직KCC스위첸(1단지)’ 전용 98㎡이 8일 7억9,500만원에 신고가 거래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남구에서는 ‘더비치푸르지오써밋’ 전용 59㎡가 14일 9억3,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새로 쓰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자, 부산에서는 평지에 조성되거나, 2호선 역세권 입지를 갖춘 곳, 개발호재가 예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유망 분양 단지를 선점하려는 전국 수요층의 문의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서 평지, 2호선 역세권, 개발호재 키워드는 높은 희소성을 바탕으로, 그동안 부동산 시장의 상승장을 주도해왔다는 점에서 풍선효과 역시 상대적으로 더 클 것으로 전망돼 수요층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부동산 업계는 이와 같은 지방 대도시 권역의 관심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이번에 대책을 발표하면서 언급한 정부의 정책 기조를 보면 향후에도 서울, 수도권에 추가 규제를 적용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이번 대책과 정부 기조를 통해 갈 곳을 잃은 투자 자본과 수요가 부산 등 매력적인 지방 부동산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부산 등 지방 대도시권은 이번 대책이 나오기 몇 주 전부터 기대감으로 시장 전체가 들썩이고, 대책 발표 이후에는 실거래 신고가 경신되는 등 빠르게 온기를 되찾고 있는 만큼, 이를 확인한 수요층의 발길이 다시 재점화돼 반등 분위기와 상승 흐름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