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의 상징이자 유명 관광지 에펠탑 입장료가 또 오를 전망이다.
15일(현지시간)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파리 에펠탑이 적자 누적에 시달리면서 파리 시의회가 입장료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에펠탑의 성인 기준 최상층 엘리베이터 이용 티켓 가격은 36.10유로(약 6만원)로, 이미 지난해 대비 18% 가량 인상된 상태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도 에펠탑의 재정난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프랑스 회계감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에펠탑은 지난해 850만유로(약 141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향후 2031년까지 누적 적자가 3100만 유로(약 513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감사원은 에펠탑 운영사인 SETE가 금속 부품 18만개와 볼트 250만개로 구성된 구조물의 유지·보수 비용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2018년 재도장 작업 예산은 당초 5000만 유로로 책정됐으나, 실제 소요 비용은 1억4200만 유로에 달했다. 북쪽 탑 엘리베이터 개보수 사업 역시 예산 3200만 유로를 크게 웃도는 5830만 유로가 투입됐다.
인건비 상승도 주요 적자 요인으로 꼽힌다. 에펠탑 직원 441명의 인건비는 2019년 2590만 유로에서 올해 3230만 유로로 증가했다. 직원 평균 연봉은 7만2317유로(약 1억500만원)이며, 단순 업무 종사자라도 보너스를 포함하면 평균 4만9032유로(약 7200만원)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타격도 크다. 봉쇄 기간 동안 약 1억4900만 유로의 수입이 증발했지만, 아직 그 재정 공백을 완전히 메우지 못한 상태다.이 때문에 추가적인 입장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리 시의회는 “에펠탑 요금 체계 조정을 고려하고 있다”며 인상 방침을 시사했다.
프랑스는 가장 가성비가 떨어지는 여행으로 꼽힌 바 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 여행자가 많이 찾는 27개 해외여행지의 하루당 지출 비용과 만족도를 이용한 가성비’를 구한 결과를 조사해 발표에 따르면 해외여행지 일본과 태국이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반면 프랑스와 미국은 가장 가성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비용 저만족’의 가성비 미흡 여행지는 프랑스(-16)가 대표적이었다. 이어 미국(-13), 하와이(-12), 영국(-9) 순이었다. 이 국가들의 1일당 여행비는 평균 35만~45만원대로 최상위 수준(1~7위)이었으나 만족도는 모두 중하위권(13~20위)에 그쳤다. 이는 항공료가 비싸고 외식비, 숙박비 등 물가가 아시아권보다 현저히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na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