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민사회에서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며 연일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중심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는 용인시에 고민을 안기고 있다.
16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SK하이닉스가 남사면 일대에서 진행 중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에 이어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이동남사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국내는 물론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도시로 성장한다는 계획을 짜 놓았다. 반도체가 대한민국 향후 30년 먹거리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경기도도 공기 단축 등을 위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전력 수급 문제와 기후위기 대응을 연결 고리 삼아 반대 여론 형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경기도 내 2025 기후정의실천단, 반도체특별법반대공동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달부터 기자회견과 성명 등을 통해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추진에 연일 제동을 걸고 있다.
반도체 산단 완공 시 예상 필요 전력은 10GW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는 수도권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달하는 막대한 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첨단전략산업 전력 적기공급을 위한 인프라 확충 계획’을 보면 산단 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새로 건립해 1차로 3GW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7GW는 타 지역의 발전소에서 가져오기 위해 초고압 송전망을 깔아야 한다.
시민단체들은 LNG가 연소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화력발전소에 주로 쓰이는 석탄보다는 적지만 기화 과정 등에서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메탄가스를 누출 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기환경운동연합 등은 아예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LNG 발전소 예정 부지 중심으로 한 공청회 때 일부 주민의 반발로 이어졌다.
시민단체들은 “반도체 국가산단이 (이전 정부에서)환경영향평가와 기후변화영향평가 없이 사업 허가가 이뤄져 절차적 문제와 기후 위기 대응 정책과 정면 배치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타 지역에서 7GW의 전기를 끌어오려면 총연장 1153㎞에 달하는 고압 송전선로를 깔아야 하는데 기피시설인 송전선로와 송전탑 등을 건설하려면 또 하나의 갈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도 우려하고 있다.
용인시 관계자는 “전력 등의 문제가 있으나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시는 관련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