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억 원에서 1조 3808억 원으로 불어났다가 16일 파기환송으로 이어진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은 롤러코스터 같은 행보였다. 사건은 최 회장이 언론을 통해 혼외자를 공개하면서 시작됐다. 최 회장은 2015년 12월 한 언론사에 ‘내연녀와 혼외자가 있다. 현재 부부 생활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A4 용지 3장 분량의 편지를 보냈다. 미국 시카고대 유학 시절 맺은 인연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 취임 첫해인 1988년 9월 결혼한 두 사람이 27년간의 부부 생활이 순탄하지 않았음을 세상에 알린 셈이었다.
최 회장은 2017년 7월 서울가정법원에 이혼 조정을 신청했지만 노 관장의 반대로 무산됐다. 최 회장은 이듬해 2월 정식으로 이혼소송을 제기했다. 이 과정에서 노 관장은 2019년 12월 “원하는 행복 찾아가게 하겠다”는 글을 남기며 위자료와 함께 1조 원대 재산분할을 요구하는 맞소송을 냈다.
1심은 2022년 12월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위자료 1억 원과 665억 원의 재산을 분할하라고 판결했다.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을 ‘특유재산’으로 인정해 노 관장의 기여를 배제했다. 노 관장 측은 2심을 앞두고 변호인단 전원 교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이 같은 전략은 항소심에서 주효했다. 지난해 5월 서울고법은 노 관장의 모친 김옥숙 여사가 보관한 ‘선경 300억 원’ 메모와 1992년 선경건설(현 SK에코플랜트) 명의 약속어음 등 ‘노태우 300억 원 비자금’ 관련 증거 대부분을 인정했다. 재산분할 액수는 1심의 약 20배에 달하는 1조 3808억 원으로 늘었다.
항소심 패소 이후 최 회장은 6월 “대법원에서 다시 판단을 받겠다”고 직접 밝혔다. 이후 상고심에 대비해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 홍승면(사법연수원 18기) 전 부장판사를 비롯해 법무법인 율촌 소속의 이재근(28기), 민철기(29기), 김성우(31기), 이승호(31기) 변호사 등을 새로 선임했다. 상고심에서도 치열한 법리싸움을 벌였으나 결국 대법원이 파기환송 결정을 내리면서 두 사람은 다시 한 번 법원의 판단을 받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