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아르헨티나의 부채 상환을 지원하기 위해 200억 달러(약 28조 원) 규모의 민간기금 조성을 추진한다. 유동성 위기에 몰린 아르헨티나에 20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제공한 데 이은 추가 지원 행보다.
15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간은행과 국부펀드 자본을 활용해 아르헨티나의 부채 상환을 돕기 위한 200억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수의 은행들이 관심을 보였고 여러 국부펀드들도 참여 의사를 전달했다”면서 민간 부문이 주도하는 구조임을 강조했다. 다만 기금 조성 과정에서 미국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이 기금이 조성되면 미국의 아르헨티나 지원 규모는 기존에 발표한 200억 달러의 통화 스와프와 함께 총 400억 달러(약 57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아르헨티나 중앙은행과 20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미 재무부는 아르헨티나 페소화를 직접 구매했다고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잇따른 지원은 26일 중간선거를 앞둔 아르헨티나의 통화가치를 안정화하고 경제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번 선거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기존의 정치적 노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를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아르헨티나를 두고 “라틴아메리카에서 미국의 중요한 동맹”이라고 언급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금융 지원을 ‘경제적 먼로 독트린’의 일환으로 규정했다. 이는 1820년대 제5대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가 북미와 남미 전역을 미국의 광범위한 영향권으로 선언했던 외교 원칙을 암시한 것이다. 그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과거 중남미 국가들을 미국의 영향권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놓쳤다”며 “여러 정부가 좌파에서 우파로 이동했다가 다시 극좌로 돌아섰지만 이제 다시 방향을 되돌리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행정부가 해외 정치적 동맹국을 지원하기 위해 얼마나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ngea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