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가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 간 ‘폭언 문자’ 논란에 대한 책임 공방 속에 파행됐다. 두 의원 간 감정싸움이 고발·징계안 제출로 번지는 등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박 의원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 시작에 앞서 신상발언을 통해 앞선 논란을 재점화했다. 그는 “정회 중이었다고는 해도 제가 동료의원에게 욕설한 부분은 국민 여러분께 깊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동료 의원들에게 죄송하다”면서도 “다만 김 의원에게는 전혀 미안함 마음이 없다”고 포문을 열었다.
박 의원은 “그날 (김 의원의) 행동은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었고 더군다나 제 전화번호까지 공개해서 개딸들의 표적이 돼서 전화기를 쓰기 어려운 상황까지 됐다”며 “본인이 심각하게 반성해야 한다. (최민희) 위원장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는데 그것도 유감”이라고 했다. 그는 “김 의원이 9월 5일에 저희(국민의힘) 의원들이 있는 소위 회의실에 와서 제 멱살을 잡고 소리를 질렀다”며 “그 자리에 동료 의원과 보좌진 등 10명 가까운 사람이 봤다. 멱살을 안잡았다고 하면 그게 없어지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뒤이어 발언권을 얻은 김 의원은 이동통신사에서 제출받은 자신의 통화 및 문자 발신내역을 공개하면서 반박했다. 박 의원이 김 의원 또한 자신의 문자에 대응해 욕설 문자를 보냈다고 주장한 데 대해 “명백히 허위사실”이라며 반론을 편 것이다. 그는 지난달 소위 회의실에서 불거진 충돌에 대해서도 “전화를 받다가 (회의실로) 들어갔는데 (박 의원이) ‘네가 왜 여기 들어와’라고 해서 ‘공용시설인데 당신이 뭔데 들어오라 마라냐’고 한 것”이라며 “그랬더니 (박 의원이) 쌍욕을 했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개인에 대한 전화번호 공개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논쟁했다. 박 의원은 “(면책특권 대상이 되려면) 직무상 관련성이 있어야 하는 것”이라며 “면책특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박 의원은 사인이 아니고 공인, 공공기관이다”라며 “공적으로, 업무상 박 의원의 휴대전화 번호를 수집해서 공개한 게 아니라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여야 의원들은 고성을 내지르고 삿대질을 하면서 서로를 강하게 질타했다. 특히 최민희 과방위원장이 김 의원의 통화·문자내역 제출을 근거로 박 의원에게 “(반론의) 근거를 제시하라”고 추궁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이 더욱 거세게 반발했다. 최 위원장은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민주당 의원들은 이렇게 끼어들지 않는다”며 “벌떼같이 일어나는데 박 의원 대변인이냐”고 기름을 부었다.
소란이 격해지자 결국 최 위원장은 감사 중지를 선언했다. 이날 국감을 실시할 예정이었던 우주항공청,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등에 대한 감사는 시작도 못한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