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제64회 탐라문화제’에서 불거진 ‘부실 김밥’ 논란에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류일순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15일 열린 제443회 도의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 동홍동)의 질의에 “도 입장에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류 국장은 "현재 제주시도 (문제를) 인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이런 축제 때 모니터링을 강화해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란은 이달 12일부터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제 부스에서 판매된 김밥이 지나치게 부실하다는 글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불거졌다. 4000원에 판매된 김밥 두 줄에는 흰쌀밥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속 재료는 단무지·계란·당근 조각이 전부였다. 게시물이 확산되자 해당 부스는 13일 판매를 중단했다.
부스 관계자는 “사진 속 음식은 김밥이 아니라 김초밥인데, 여러 명이 돌아가며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며 “폭리를 취하려는 의도는 없었지만 변명의 여지는 없다. 고객 입장에서 충분히 불쾌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탐라문화제 운영위원회는 공식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하고 “문제가 된 부스는 주최 측이 직접 운영한 곳이 아닌 인근 마을 부녀회가 주도해 운영한 곳”이라며 “즉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 조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부실 김밥’ 논란 외에도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됐다. 축제 측은 제주시로부터 도로 점용 허가만 받았음에도 산지천 일대 도로와 인도에 크고 작은 대못을 박아 부스를 설치해 논란을 빚었다. 또 혈세 17억 원이 투입된 행사임에도 어린이 페이스 페인팅, 풍선 만들기, 캐리커처 등 타 지역 축제에서 무료로 운영되는 체험 프로그램이 모두 유료로 진행돼 ‘바가지 요금’ 비판도 제기됐다.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제주의 대표 축제라는 명예가 실추될까 우려스럽다”며 “바가지 요금은 사전에 철저히 확인하고 없앨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달라”고 거듭 요구했다.
류 국장은 “현재 전반적인 현장 점검을 마친 상태로, 12월 평가 보고회 때 지적받은 사항을 잘 논의해 문제 없는 축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한국예총 제주도연합회가 주관한 '제64회 탐라문화제'는 10일부터 14일까지 제주시 원도심 일대에서 열렸다. 옛 탐라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는 제주 대표 축제로, 제주 유일의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예비 문화관광축제이기도 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