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가 전날 운정신도시 일대에서 벌어진 수돗물 탁수(이물질) 공급이 시공사의 상수도 비상연계밸브를 무단으로 조작했기 때문이라고 15일 밝혔다. 시는 긴급 대응에 나서 수질 안정화를 위한 모든 조치를 이날 오후 6시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파주시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부터 운정 4동(야당동, 상지석동)과 운정1동(가람마을, 별하람마을) 일대에서 탁수가 공급돼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시는 사고 인지 직후 영향 지역 내 9개 지점을 대상으로 강제배수(이토)를 실시하고, 피해 단지에 대해 관리사무소와 협의해 순차적으로 수돗물을 재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는 비상급수차 16대와 병입 생수 13만 1000병을 긴급 지원했다.
또 단기적으로는 관세척 강화, 저수조 청소 지원, 비상급수 지속을 통해 수질을 안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 수질감시시스템과 자동드레인을 추가 확대·설치해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운정 지역을 포함한 시 전역의 주요 배수본관 및 말단 관망에 대한 정밀조사를 병행해 관 내부 침전물 잔류나 유속 불균형 등 잠재적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방침이다.
시는 지방상수도 물안심보험을 통해 지난 수질사고 피해보상 절차를 진행 중이며, 정수기·샤워기 필터 교체비, 의료비 등 실질적인 피해보상이 조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보험사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이번 수질 이상으로 피해를 받은 세대에 대해서는 피해보상 절차를 적극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사고의 원인 조사 결과 한국주택도시공사(LH)가 원인자부담으로 추진 중인 상수관 이설공사 구간에서 시공사가 비상연계밸브를 파주시나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의 사전 협의 없이 개방했고, 이로 인해 관 내부의 침전물이 뒤섞이면서 탁수가 인근 지역으로 확산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시는 이번 행위가 수도법을 위반한 중대한 수도시설 무단조작으로 판단하고 시공사뿐 아니라 관리·감독 의무를 다하지 않은 발주청(LH)에 대해서도 형사 고발과 함께 원인자 부담에 따른 피해배상 청구를 병행할 예정이다.
박준태 파주시 환경국장은 “시민의 수돗물 안전은 어떤 이유로도 훼손되어서는 안된다”라며 “이번 사고 수습을 위해 행정적 역량을 총동원해 시민들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수도시설을 임의로 조작하는 행위에 대한 강력한 조치를 취하여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