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정권이 무너지면서 정치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총리 지명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치열한 수 싸움을 벌이는 가운데, 정권 교체의 열쇠는 제3야당인 국민민주당의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가 쥐고 있다.
입헌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대표, 일본유신회 후지타 후미다케 공동대표, 다마키 국민민주당 대표는 15일 오후 국회에서 만나 야권 총리 후보 단일화 방안을 논의한다. 현재 자민당은 공명당과의 결별로 중의원 내 의석이 과반(233석)에 크게 못 미치는 196석에 불과한 상황이다. 야3당의 의석은 210석으로 ‘야당 연합으로 정권을 교체하자’는 구상이 나온 배경이다.
이 구상의 성패를 좌우할 인물은 다마키 대표다. 국민민주당은 중의원 의석이 27석에 불과하지만, 자민당과 야당 연합 양측 모두에게 ‘캐스팅보트’를 쥔 존재가 됐다. 56세인 다마키 대표는 지난해 10월 중의원 선거에서 ‘실수령액 증가’를 공약으로 내걸어 당 의석을 4배로 늘렸다. 같은 해 11월 불륜 스캔들로 3개월간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지만, 이후 복귀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정국의 핵심 인물로 떠올랐다.
다마키 대표의 몸값(?)을 끌어올린 것은 148석을 보유한 제1야당 입헌민주당이다. 입헌민주당은 야권 결집과 정권 교체를 위해 총리 지명선거에서 자당 대표가 아닌 다마키 대표를 밀겠다는 파격 제안을 했다. 하지만 다마키 대표는 입헌민주당에 안보·원전 정책 수정을 요구하며 거리를 두고 있다. 국민민주당은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고 원전 재가동을 지지하는 반면, 입헌민주당은 안보관련법의 위헌 부분 폐지를 요구하고 원전 축소를 강령에 명시하고 있다. 두 당은 뿌리가 같지만 핵심 정책에서 있어선 정반대 입장을 취한다. 국민민주당이 입헌민주당에 정책 수정을 압박하면서 입헌민주당 간사장은 “안보는 그럴듯한 말로 얼버무릴 수 없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입헌민주당 내에는 국민민주당 정책에 동조하지 않는 진보 성향 의원이 40~50명 있어 야권 단일화가 쉽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총리 지명’이 불발될 위기에 놓인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도 이날 야당 3당 대표와 개별 회담을 갖고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공명당과의 결별로 과반 확보가 어려워진 자민당은 야권 연합을 흔들어 정국 주도권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전날 자민당 스즈키 슌이치 간사장은 국민민주당 간사장과 만나 연정 가능성을 타진했다. 다마키 대표가 자민당의 손을 잡을 경우 다카이치 총재는 무난하게 총리 자리에 오르고 안정적 권력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여야는 임시국회를 오는 21일 열기로 합의했으나 이날 총리 지명선거를 진행할지를 두고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