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군의관 대신 일반 병사로 입대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올해는 8개월 만에 관련 통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13일 병무청 자료를 공개한 결과, 올해 8월까지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는 2838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150명과 비교하면 약 19배에 달하는 수치다.
연도별 현역병 입영 현황을 보면 2021년 214명, 2022년 191명, 2023년 267명 수준에 그쳤으나,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인한 휴학과 수업 거부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현역병 입대를 선택한 의대생이 1363명으로 급증했다. 이러한 흐름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입영자 분포는 육군 1997명(70.4%), 공군 754명(26.6%), 해군 62명(2.2%), 해병대 25명(0.9%)으로 집계됐다.
전통적으로 의대생은 의사 면허 취득 후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로 복무한다. 그러나 병사 처우 개선과 복무기간 단축 등의 이유로 현역병 선택이 늘어나고 있다. 군의관과 공보의 복무기간은 군사교육 포함 37~38개월이지만 현역병은 육군·해병대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군의관 충원율은 정원 2475명 중 2442명으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다만 의대생 현역병 입영 증가가 계속될 경우 2029~2030년 사이 군 의료 인력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황 의원은 경고했다. 그는 “정부는 의정 갈등 후유증을 정확히 진단하고 군의관 수급 및 현장 의료 지원 부족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