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서울은 100.0으로 9월 102.7에서 2.7포인트 하락한 반면 경기도는 94.1로 88.2에서 5.9포인트, 인천은 84.0으로 82.1에서 1.9포인트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은 87.7로 82.0에서 5.7포인트 올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10월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를 14일 공개했다.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집계하는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는 아파트를 분양 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입주 경기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주산연은 경기도 입주 전망 지수 상승 원인에 대해 6·27 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됐음에도 서울의 주택 가격과 거래량이 반등하자 상대적으로 대출이 쉬운 경기 지역 아파트로 매수세가 확장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산연의 한 관계자는 “서울 지역 입주 전망 지수는 9월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입주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5대 광역시 중 부산(61.1→84.2), 대전(85.7→100.0)과 함께 세종(81.8→108.3)이 상승했고, 대구(85.7→75.0), 광주(85.7→78.5), 울산(91.6→88.2)은 하락했다. 주산연은 부산은 신축 입주 물량 감소로 전세가격 상승폭이 커지면서 집값 하락이 보합세로 돌아섰고, 세종시는 가을 이사철 전세난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며 주택 매매 시장을 자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미분양 해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와 광주 지역은 9·7 대책에서도 지방 미분양 지원책 없이 대출 규제 강화로 수요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돼 입주 전망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9월 아파트 입주율은 전국이 71.2%로, 8월의 67.4%보다 3.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82.0%→82.9%), 5대광역시(64.9%→67.4%)가 상승했다. 미입주 사유는 잔금대출 미확보(38.9%), 기존 주택 매각 지연(31.5%), 세입자 미확보(18.5%), 분양권 매도 지연(3.7%) 순으로 나타났다. 잔금 대출 미확보 요인을 선택한 응답 비율은 9월 조사의 30.8%에서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