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생산적금융 정책 기조에 발맞춰 BNK금융그룹의 ‘생산적금융협의회’가 14일 공식 출범했다. 내년 한 해에만 21조 원 규모의 자금을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투입하며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구조 전환을 이끄는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BNK금융의 이번 조치는 지역금융을 단순한 자금 공급 창구가 아닌, 생산·투자 중심의 성장 촉진을 위한 플랫폼으로 재정의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협의회는 그룹 경영진이 참여하는 상설 협의체로, 동남투자공사 설립과 해양수산부 이전 등 지역 현안을 중심으로 ‘BNK 부울경형 생산적금융’의 실행력을 강화한다.
BNK금융은 생산적금융 분야에 20조 원, 취약계층 지원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포용금융 분야에 1조 원을 각각 공급한다. 특히 생산적금융의 경우 해양·조선, 북극항로 개발 등 해양특화산업 육성과 한계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지원에 집중한다.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등 공공기관과 협력해 지역산업의 재편과 기업 구조조정을 금융 측면에서 뒷받침할 계획이다.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BNK금융은 심사단계에 ‘투자생산성 지수’를 도입, 지역경제 파급력이 높은 사업에 우선적으로 자금을 배분한다. 투자처 발굴부터 심사,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는 구상이다.
그룹 내 은행 계열사 2곳은 첨단전략산업과 지역특화산업 중심으로 기업금융 공급을 확대하고 BNK투자증권·BNK자산운용·BNK벤처투자 등 비은행 계열사는 IPO, SPAC(기업인수목적회사) 상장, 혁신펀드 조성을 통해 창업·혁신기업에 대한 투자 생태계를 넓힌다.
BNK는 생산적금융뿐 아니라 포용금융의 대전환도 병행한다. 단순한 서민금융을 넘어 지역 청년 창업가와 금융 취약계층을 데이터 기반으로 선별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금리·상환 방식을 고객이 직접 선택하는 자율형 상품, 개인·개인사업자 부채탕감, 장기 연체 채권 조기 조정 등 제도권 복귀를 돕는 금융도 본격화한다.
BNK금융 관계자는 “지역금융으로서 강점과 정부 정책에 따른 지역의 기회를 살려 차별화된 생산적금융 성공모델을 구축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부울경이 지역균형발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BNK금융은 시중은행 대비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지역 기반 금융그룹으로, 중소기업 대출 비중은 최근까지 9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BNK 부울경형 생산적금융’을 고도화해 지역 특화 금융 전문그룹으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