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등 지방 지역의 분양가 상승이 특히 두드러지는 가운데, 분양가가 고정된 기분양 단지에 수요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양가 상한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형 건축비가 인상됨에 따라 민간아파트의 분양가 추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 15일 국토교통부 정기고시에 따르면 기본형 건축비가 217만4,000원으로 인상된다. 직전 고시(㎡당 214만원) 대비 약 1.59% 상승한 것으로, 3년 전 동월(190만4,000원)과 비교하면 약 14.18% 오른 수치다. 기본형 건축비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주택의 분양가 상한을 구성하는 항목 중 하나로, 공사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최근 3년 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기본형 건축비의 증가가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한다. 기본형 건축비가 분양가 산정의 기준선 역할을 하는 만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는 아파트라도 분양가 책정 시 인상된 기본형 건축비를 고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원자재값, 인건비 등의 인상으로 이미 고공행진 중인 분양가가 더욱 상승할 것이란 우려가 따른다.
실제 분양시장은 고분양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약 5.11% 증가한 597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평(3.3㎡)으로 환산하면 2,000만원대에 근접한 수치다.
특히 충남, 충북 등 기타지방의 분양가 상승이 두드러진다. 기타지방의 분양가는 같은 기간 약 6.68% 상승해, 수도권(4.81%)보다도 가파른 상승률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충남의 평균 분양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약 17.73% 상승하며 기타지방 중 가장 큰 분양가 상승폭을 기록했다. △충북(약 16.66%) △경남(약 8.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고분양가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본형 건축비의 인상은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격을 추가로 높일 요인이 될 것”이라며 “분양가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해온 바, 현재 분양 중인 단지를 눈여겨보며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충남 천안시 서북구 일원에서 입주를 앞둔 브랜드 단지가 있어 수요자 이목이 집중된다.
롯데건설은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일원에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6개 동, 전용면적 59~119㎡, 총 584가구 규모로 공급하는 '천안 롯데캐슬 더 두정'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단지는 천안시 내 핵심 인프라가 밀집된 두정동과 신부동 생활권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입지를 갖췄다. 먼저 단지는 신세계백화점, 롯데마트, 이마트 등 대형쇼핑시설은 물론 단국대병원, 대전대 천안한방병원, CGV, 메가박스, 신부문화거리 등이 인근에 있다.
여기에 단지 바로 앞에 천안희망초를 비롯해 자사고인 북일고, 북일여고와 천안북중 등 다수의 학교도 주변에 위치하며, 두정동, 신부동 학원가도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교통도 우수하다. 수도권 지하철 1호선 두정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천안고속버스터미널과 천안종합버스터미널, KTX 천안아산역도 인근에 위치해 편리한 광역교통망을 갖췄다. 또한, 경부고속도로 천안IC, 1번국도, 천안대로 등이 인접해 천안 전 지역은 물론 외곽지역으로 이동이 수월하다.
롯데캐슬의 우수한 상품성도 갖췃다. 단지 전 가구는 실수요자 만족도가 높은 남향으로 배치했으며, 거실에는 일반적인 철제 난간이 아니라 시야 간섭이 없는 유리 난간 일체형의 조망형 이중창을 시공했다. 84C타입을 제외한 전 타입은 조망에 유리한 4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했다. 이외에도 타입별로 다양한 형태의 팬트리와 드레스룸은 물론 알파룸까지 제공해 공간 활용성도 극대화했다.
다채로운 커뮤니티시설도 마련돼 있다. 피트니스센터, 실내골프장 등 입주민 전용 운동시설을 비롯해, 지인 방문 시 숙박을 제공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 등이 조성돼 수준 높은 주거생활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단지 내 어린이집은 물론 키즈카페, 맘스테이션, 맘스카페 등 아이 보육을 위한 시설도 마련됐다.
조경 설계에도 차별화를 뒀다. 리조트 감성을 담은 ‘리조트 플라자’,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가든’, 사계절 산책이 가능한 ‘라운지 가든’, 건강한 생활을 위한 ‘피트니스 가든’ 등 테마별로 구성된 공간은 입주민에게 쾌적한 일상과 여유를 선사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