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예정대로 내년 4월부터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된다. 정부는 이에 맞춰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7일(현지시간) 채권국가분류 반기 리뷰에서 한국 국채의 편입 결정과 편입 방식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한국 국채의 WGBI 편입은 내년 4월 시작해 같은 해 11월에 마무리된다.
앞서 FTSE 러셀은 지난해 10월 반기 리뷰를 통해 올해 11월부터 한국을 WGBI에 편입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 3월 리뷰에서 이를 내년 4월로 변경했다. 편입 시점은 미뤘지만 편입 완료 시기는 내년 11월로 유지했다.
이날 FTSE 러셀은 “내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동일한 비중으로 총 8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편입할 예정”이라며 “한국 국채의 원활한 지수편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투자자, 시장 인프라 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FTSE 러셀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한국의 WGBI 예상 편입 비중은 2.08%로, 전체 편입 국가 가운데 9번째 규모다. 미국이 40.9%로 가장 많고, 중국(10.1%), 일본(9.2%), 프랑스(6.0%), 독일(5.2%), 영국(5.1%), 스페인(4.0%) 등의 순이다.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 글로벌 국채지수(BBGA), JP모건 신흥국국채지수(GBI-EM)와 함께 3대 채권지수로 꼽힌다. 26개국 주요국 국채가 편입돼 있으며 추종자금 규모만 2조5000억~3조 달러에 이른다. 정부는 지난해 WGBI 편입으로 최소 560억 달러(약 76조원)의 자금이 우리 국채 시장에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통해 우리 국채 시장의 신뢰도와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 국채 투자 관련 제도와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점검 보완해 내년 4월 실제 WGBI 편입이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불편함 없이 한국 자본시장에 원활히 투자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선진화 노력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