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300건 가까이 발생해 224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휴대전화, 전동스쿠터 등에 장착된 배터리로 발생한 화재는 총 296건이었다.
발화 원인으로는 전기적 요인이 164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학적 요인 57건, 기계적 요인 19건, 교통사고 1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로 인해 사망 2명, 부상 21명의 인명 피해와 223억9000여만 원 규모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배터리 화재 사고는 2020년 292건, 2021년 319건, 2022년 345건, 2023년 359건, 2024년 543건으로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재산 피해도 같은 기간 45억6000만 원에서 260억 원으로 4년 만에 5.7배 늘었다.
소방 당국의 배터리 화재 대응 훈련은 2023년 25회에서 2024년 50회로 2배로 늘었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단 9회에 그쳐 훈련 공백이 지적된다.
위성곤 의원은 "배터리 화재에 특화된 안전 대책과 전문적인 소방 훈련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6일 오후 8시 15분쯤 대전 유성구 소재 국정자원 무정전·전원 장치(UPS)실의 리튬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배터리 교체 작업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도중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작업하던 업체 직원 40대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소방당국은 "전산실 리튬배터리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장비 31대와 소방대원 90여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데이터 장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을 동원해 진압에 나섰으며, 화재 발생 9시간 50분 만인 27일 오전 6시 30분께 큰 불길이 잡혔다.
이번 화재로 영향을 받은 정부 서비스는 현재까지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24, 국민신문고시스템, 우체국 우편 등 대국민서비스는 물론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 및 관련 서비스 사이트, 온라인 공무원증, 정부 메일링시스템 등 서비스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