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주요 행정업무 시스템 647개가 멈췄다. 다만 저장된 핵심 데이터는 실시간 재난복구 체계가 가동되고 있어 소실 가능성은 낮다는 게 당국과 업계의 설명이다.
27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화재가 난 전산실은 국정자원이 자체 운영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 ‘G-클라우드 존’에 해당한다. 이 구역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4중으로 백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부 서버가 불에 탔더라도 외부 저장 장치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통해 복구가 가능하다.
앞서 국정자원 전산실에는 주민등록·세금·보건의료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민감한 행정정보가 집중돼 있어 화재 직후 데이터 소실 우려가 확산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서버 하드웨어의 물리적 손상일 뿐 분산 저장된 데이터 자체는 안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다만 복구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화재로 서버 전원이 차단돼 재난복구 시스템을 즉각 가동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대전·대구·광주에 설치된 국정자원 3개 센터 중 일부만 완전한 DR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저장장치만 있는 곳, 백업만 있는 곳 등 센터별로 구축 수준이 달라 복구 속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전날 오후 8시 15분께 대전 본원 전산실에 설치된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면서 정부 전산망 전체가 중단됐다. 이로 인해 각 부처 홈페이지와 행정업무 시스템이 잇따라 마비돼 국민 생활에도 불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