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회원 자격을 완전히 회복하며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패럴림픽에 정상적으로 출전한다.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자격 정지를 당한 지 3년 만이다.
IPC는 27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5 서울 IPC 정기총회’에서 러시아의 복권안을 표결에 부쳐 통과시켰다. 투표 결과 회원 자격 복권 안건은 유효 투표 177표 중 찬성 111표, 반대 55표, 기권 11표로 가결됐다. 부분 자격 정지 복권안 역시 찬성 91표, 반대 77표, 기권 8표로 과반수를 확보했다.
이로써 러시아 선수단은 내년 3월 개막하는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패럴림픽을 비롯해 모든 장애인 국제대회에 국기와 국가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며 참가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23년 바레인 총회에서 ‘개인중립선수’ 자격으로만 국제무대 출전을 허용받았던 신분이 이번 결정을 통해 완전히 해제된 것이다. 벨라루스의 회원 자격 복권 여부는 이날 오후 별도 표결로 진행된다. 두 나라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2022년 3월 국제대회 출전 정지 징계를 동시에 받았다.
러시아는 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개막 직전 선수단을 파견했으나 다수 국가의 강력한 반발로 결국 출전이 무산됐다. 이후 지난해 열린 2024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는 조건부 허가를 받아 88명의 선수단을 개인중립선수 자격으로 파견했지만 국가명·국기·국가 사용은 제한됐다.
이번 서울 총회 표결은 당초 26일 예정됐지만 각국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하루 미뤄졌다. 결국 27일 표결에서 러시아의 복권안이 통과되면서 국제 패럴림픽 무대에서의 완전 복귀가 확정됐다.
다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징계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단은 올림픽 무대에서는 개인중립선수로만 출전해야 한다. 패럴림픽 복권 결정과 달리 IOC가 언제 어떤 조건으로 징계를 해제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