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률을 90%로 끌어올리고 고위험 HPV 검사를 도입하면 2034년에 자궁경부암을 조기 퇴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귀선 국립암센터 보건AI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여성 약 2600만 명을 대상으로 2100년까지 HPV 감염 및 자궁경부암 발생 과정을 반영한 수리모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진은 △검진 시작 연령(20세·25세) △검진 주기(2·3·5년) △검사 종류(자궁경부세포검사·고위험 HPV 검사) 등을 조합해 총 36가지 전략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현행 HPV 백신 접종률 75%와 20세 이상 여성 대상 2년 주기로 시행하는 국가암검진 수검률 51.5%를 유지할 경우 2044년에 자궁경부암을 퇴치(10만 명당 발생률 4명 이하)할 것으로 예상됐다. 백신 접종률 90%·수검률 70%를 달성하면 2040년에, 여기에 고위험 HPV 검사를 도입하면 2034년에 퇴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고 고위험 검사를 강화하면 현행 접종·검사를 유지할 경우에 비해 퇴치 시점을 10년이나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자궁경부암은 매년 전 세계에서 60만 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34만 명이 사망하는 대표적 여성암이다. 국제보건기구(WHO)는 2020년 자궁경부암 퇴치를 위해 △15세 이전 백신 접종률 90% △35·45세 검진율 70% △치료 접근성 보장률 90%라는 ‘90-70-90’ 목표를 제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