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청년층의 지방간이 단순한 간 질환을 넘어 조기 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대규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기 발병암(50세 미만 암) 위험이 일반인보다 20%나 높아 지방간을 새로운 암 고위험군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문준호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정석송 고려대의대 교수, 교신저자 김원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에 따르면 연구팀은 2013~2014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20·30대 287만 7245명을 최장 10년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지방간질환 환자의 조기 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 대비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별 분석에서는 특히 비만과 밀접한 암에서 위험이 두드러졌다. 대장암 위험은 최대 1.32배, 신장암은 최대 1.53배, 갑상선암은 최대 1.36배, 자궁내막암은 최대 3.78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지방간질환의 유형이 △대사이상성 △알코올성 △복합형 등 어떤 경우에도 발병 위험이 모두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지방간질환은 과음뿐 아니라 비만·고혈압·고지혈증 같은 대사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국내 20·30대의 유병률은 2017년 기준 34.3%로,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에 발생하는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성이 강해 조기 진단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명하게 달라진다”며 “지방간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청년층을 대상으로 지방간 진단부터 암 발병 모니터링까지 이어지는 맞춤형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