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여간 국내 6대 은행에서 보이스피싱 범죄에 악용된 계좌 수가 15만 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6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에서 사기 이용 계좌로 신고돼 지급정지된 계좌가 총 15만 82개로 파악됐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이 기간 중 KB국민은행이 가장 많은 3만 4436개의 계좌가 정지됐다. 이는 KB국민이 국내 최대 은행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에 이어 △NH농협 2만 7381개 △우리은행 2만 4816개 △신한은행 2만 2510개 △하나은행 2만 1378개 △IBK기업은행 1만 9561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서는 1분기까지 6대 은행에서 1만 488개의 계좌가 정지됐다. 지급정지 계좌 수는 매년 증가세다. 2020년 2만 3381개, 2021년 2만 7967개, 2022년 2만 8185개로 꾸준히 증가했다. 2023년 2만 7652개로 주춤했다가 지난해 다시 3만 2409개로 늘었다.
지방은행도 시중은행보다 수치는 낮았지만 매년 증가했다. 부산은행이 4508개로 가장 많았고 경남은행(2713개), 전북은행(1108개), 광주은행(1075개) 등의 순이었다. 박 의원은 “금융 보안 체계에 심각한 구멍이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수준”이라며 “날로 지능화되는 범죄 대응을 위해 은행권, 수사기관, 금융 당국 간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하고 사전 차단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