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상풍력 발전설비 보급을 늘리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관련 산업 활성화에 나섰다. 정부는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달성을 위해 내년 3월 해상풍력특별법 본격 시행 전까지 보급 기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여의도 전력기반센터에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상풍력은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입지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이다. TF는 대통령실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 국방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꾸려졌으며 해상풍력특별법이 시행되는 2026년 3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산업부 측은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주요 애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며 “향후 국내 해상풍력의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모든 전문가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4.1GW 규모 낙찰 사업의 성공적인 정착이 앞으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전체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해상풍력은 총 0.35GW 규모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총 4.1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한 바 있으며 2030년까지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대형 원전 약 5기의 발전량과 맞먹는 규모다. 다만 정부는 이 과정에서 중국산 터빈과 같은 외국산 기술·부품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에너지 안보 및 공공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차관은 “이 시기를 실기하지 않도록 관계부처 모두가 원팀이 돼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 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