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산업이 장기 침체를 겪는 가운데 정부가 대규모 예산 투입으로 회복 지원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내놓은 ‘2026년 영화 분야 정부 예산안’이 총 1498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올해(829억 원)보다 669억 원, 무려 80.8% 늘어난 규모다. 코로나19 긴급지원이 있었던 2022년을 제외하면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한국영화는 팬데믹 이후 관객 수 회복이 더뎌지고 제작·투자 환경까지 얼어붙으며 위기를 겪어 왔다. 올해 들어 국내에서 제작되는 제작비 30억 원 이상 상업영화는 20편도 채 되지 않았다.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투자가 끊기면서 영화 현장에 돈이 마르고 영화인들의 생계가 위태로울 정도로 산업 생태계가 무너졌다”며 “심폐소생술 수준의 긴급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안은 기획·제작부터 투자·관람까지 전 단계를 지원하는 구조다. 먼저 기획개발지원 예산을 80억 원으로 확대하고 개봉 실적이 있는 제작사에 차기작 기획개발비 17억 원을 별도 편성했다. 중예산 영화 제작지원도 200억 원으로 두 배 늘려 ‘볼 만한 한국영화’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독립·예술영화 관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상영 지원사업(18억 원)을 신설하고, 국내외 영화제 육성 지원도 48억 원으로 늘린다. 투자 기반 확대를 위해 모태펀드 영화계정 출자 규모를 700억 원으로 두 배 증액, 14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민간 투자를 촉진한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기반 조성도 포함됐다. 인공지능(AI) 기반 영화 제작(22억 원) 지원이 신설되고, 부산 기장촬영소 내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구축(164억 원)도 새로 추진된다.
정상원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한국 영화산업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만큼 빠르게 성장해왔지만 지금은 회복이 절실하다”며 “문체부는 인적 자원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국영화가 다시 K-콘텐츠의 미래를 이끌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