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지난 5월 말 4개국 국방장관 회의 당시 북한 비핵화 문제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방안을 거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지난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일본, 호주, 필리핀 국방장관과 진행한 4개국 국방장관 회의에서 북한의 비핵화 문제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것을 완강히 거부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헤그세스 장관은 중국에 대해서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공동 성명에도 동·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위협을 비판하는 문구가 들어갔지만,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는 것이다.
닛케이는 그 배경으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규정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이 자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로 지칭하기도 했다. 닛케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협상에서 비핵화를 요구하지 않는 대신 핵 군비 관리에 응하도록 하는 딜(deal)을 목표로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아시아 지역의 긴장은 고조되고 세계의 핵 비확산 체제는 흔들리며 한국에서는 핵 보유를 바라는 여론이 한층 더 거세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중국과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을 끌어들여 서방 주도의 국제 정치를 매장하고 미·중·러의 강대국만으로 결정하는 틀을 제안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중·러에 놀아나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