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이 28일 발표한 8월 넷째 주(2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매매 가격 상승률은 지난주 0.09%에서 이번 주 0.08%로 축소됐다.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각각 0.03% 상승, 0.02% 하락해 전주와 동일한 흐름을 유지했다. 전국 상승 폭은 0.00%로 보합세를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강남 3구의 약세가 뚜렷했다. 강남구는 상승 폭이 0.12%에서 0.09%로, 서초구는 0.15%에서 0.13%로, 송파구는 0.29%에서 0.20%로 줄었다. 마용성은 보합세를 보였다. 마포는 상승률이 0.06%에서 0.08%로 성동구는 0.15%에서 0.19%로 증가했으나 용산구는 0.10%에서 0.09%로 줄었다.
재건축 이슈가 있는 과천과 성남 분당의 아파트 매매값 상승률은 0.18%를 기록했다. 과천의 경우 전주 대비 각각 0.02%포인트 하락한 반면 성남은 0.01%포인트 상승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현재 서울 아파트 상황은 ‘불안한 안정세’라 볼 수 있다”며 “곧 발표될 공급대책 내용이 하반기 부동산 가격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세 가격은 서울이 0.06% 올라 전주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학군지, 역세권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에서 상승 계약이 체결됐기 때문이다. 강남 3구의 경우 서초의 전세가격은 0.02% 떨어졌지만 강남은 0.03%, 송파는 0.21% 올랐다.
한편 정부가 지난 14일 지원 확대를 발표한 세컨드홈 대상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반등하거나 낙폭을 줄였다. 전북 익산시는 0.10% 하락해 전주(-0.22%)보다 하락 폭을 0.12%포인트 줄었고 강원 동해시는 전주 0.10% 하락에서 이번 주에는 0.01%로 상승 전환했다. 강원 속초시 역시 0.19% 하락에서 0.02% 하락으로 낙폭을 크게 줄였다.
앞서 정부는 1주택자가 인구감소를 겪는 비수도권 지방의 주택을 매입해도 1가구 1주택 특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