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무난히 마무리하고 28일 새벽 귀국했다. 당초 상당한 난항이 예상됐지만 이 대통령의 세밀한 준비와 유연한 대응으로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 종래의 안미경중(安美經中) 시각을 교정했고, 한미 동맹 현대화에도 뜻을 같이했다. 또 마스가(MASGA) 조선 프로젝트를 포함해 원전, 항공, 액화천연가스(LNG), 핵심 광물 분야에서 11개의 양해각서(MOU)를 맺는 등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를 함께 열어가기로 했다. 그 결과 27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53.1%가 한미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전체 응답자 중 60.7%는 “성과가 있었다”고 답했다. 반면 성과가 없었다는 답변은 34.6%였다. 이 대통령이 치른 ‘외치(外治) 시험’에 국민들이 일단 합격점을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대통령의 다음 과제는 국내에서 ‘정치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앙금이 쌓일 대로 쌓인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간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화해의 길을 터야 한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으로 규정하며 악수마저 거부하고, 장 대표는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릴 것”이라며 반(反)정부 투쟁을 벼르고 있다. 여야 대표가 ‘원수 대하듯’ 으르렁대면 국론을 하나로 모아 국내외 위기를 극복할 힘을 얻기 힘들다.
그런 점에서 이 대통령이 27일 우상호 정무수석을 통해 정상회담 결과 설명을 위한 만남을 장 대표에게 제안한 것은 의미가 있다. 이날 우 수석은 장 대표에게 이 대통령의 취임 축하 난을 전달했다. 일단 장 대표 측은 ‘단순한 만남이 아닌 야당의 입장이 수용되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취지로 회동 수용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래도 만남이 성사된다면 정 대표도 이 자리에 초청해 검찰·사법 개혁 등 쟁점에 대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갉아먹는 노란봉투법과 상법 개정안의 보완 조치에 대한 여야 간 논의도 필요하다. 이 대통령은 영수회담 등을 통해 우리 정치가 여야가 마주보고 질주하는 대결의 정치를 넘어 상생의 정치로 나아가게 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