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석학인 모리스 옵스펠드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UC버클리) 교수가 미국의 장기 국채금리가 심리적 마지노선인 6%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독립성 불안이나 재정 적자 우려 등이 고개를 들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기대와 달리 장기 국채금리의 고공 행진이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옵스펠드 교수는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현재의 정책 환경은 시중금리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앞으로 6개월에서 1년 뒤에 10년물 미국 국채금리가 5%대, 30년물 금리가 5.5%, 또는 6%로 올라가더라도 전혀 놀랍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30년물 금리는 4.9% 선이다.
무엇보다 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이 역효과를 낼 것으로 봤다. 옵스펠드 교수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후임이 지명되면 금리를 내리겠다는 공개적 약속을 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가 올라가고 장기 금리는 상승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기에 따라 반복되는 재정 적자 우려가 다시 한번 불거질 가능성도 금리 상승의 요인이다. 연방 정부 재정이 확대되고 적자가 늘어나면 더 많은 국채를 발행(공급 증가)해야 하는 만큼 국채금리는 상승(가격 하락)하게 된다.
옵스펠드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등 정책 변동과 혼란이 계속될 경우 해외 투자자들의 달러 표시 국채 기피 현상이 한층 강해질 것으로 봤다. 올 4월 발생한 이른바 ‘셀 아메리카(Sell America)’ 현상이 끝났다고 장담할 수 없다는 의미다. 옵스펠드 교수는 “여러 제반 요인들이 장기 금리를 상당히 올릴 수 있다”며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발행 업체는 준비금으로 단기 국채를 보유하기 때문에 장단기 수익률 곡선이 매우 가팔라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황에 따라 시중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대신 장기 금리가 높은 불균형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옵스펠드 교수는 현재 미국 경제의 지표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인플레이션 현상이 가속화할 것으로 봤다. 그는 “많은 기업들이 그간 대량으로 재고를 쌓아뒀지만 하반기에는 관세 인상 효과가 본격적으로 가격에 반영될 것”이라며 “그동안 기업들이 관세가 일시적일 수 있다고 생각해 손해를 보면서 버텼지만 그런 상황은 지속될 수 없다”고 말했다.
약달러도 인플레이션의 변수다. 1월 중순 이후 달러 가치는 약 10% 하락한 효과가 수입 물가 상승에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달러 약세와 맞물려 수입 가격이 오르고, 물가가 올라가면서 성장세는 둔화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며 “이 과정이 반드시 경기 침체로 직결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올 하반기 미국과 세계경제 성장은 확실히 약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