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자위대 방위력 강화를 위해 군사용 무인기(드론) 대량 구매를 추진한다.
12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6회계연도(2026년 4월∼2027년 3월) 예산안에 방위용 무인기 확보 비용으로 1000억엔(약 9370억 원) 이상을 포함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
일본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전쟁에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튀르키예산 저가 무인기를 사들이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2025년도에도 해상 감시용 미국 무인기 MQ-9B 구매에 415억엔을, 소형 공격형 무인기 도입에 32억엔을 각각 지출할 계획이다.
무인기와 관련해 일본 방위성은 지난 4월 미래 전투 방법을 검토하는 조직을 만들었다. 일본은 향후 육상·해상·항공자위대에 무인기를 배치해 공격, 정찰 능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22년 책정한 방위력 정비 계획에서 인력 소모를 줄이면서 임무를 수행하려면 무인기가 효과적이라고 진단했다. 일본은 장기적으로 무인기 관련 부품 공급망을 구축해 무인기 국산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육상자위대는 수도권 지바현에 한시적으로 배치했던 수직 이착륙 수송기 오스프리 17대를 규슈 북부 사가현으로 옮기는 작업을 이날 완료했다. 일본은 대만 유사시 등에 대비해 규슈와 오키나와현 방위력을 강화하고 있다. 항공자위대는 지난 7일 미국산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를 규슈 남부 미야자키현에 처음으로 배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