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1개 회원국들이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농식품 분야 혁신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특히 회원국들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농업에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에서 농식품 혁신을 위한 장관 선언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언문은 약 7개월간의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회원국들은 농식품 생산·유통·소비 전 단계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기후변화, 공급망 불안 등 복합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또한 AI와 디지털 기술을 농업에 적극 도입하고 국가 간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회의 의장을 맡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기후위기, 지역 분쟁, 공급망 충격 등 복합적 위기는 농식품 시스템의 회복력과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제 우리는 기존의 방식을 넘어 농식품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전환적 접근을 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송 장관은 “원조 수혜국에서 반세기 만에 공여국이 된 대한민국은 스마트 농업, AI 농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역 중심의 연대 협력 등 농정의 새 틀을 구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21년 수립된 ‘2030 식량안보 로드맵’의 추진 상황을 중간 점검하고 식량안보 정책 실무회의 운영 세칙을 확정했다. 각국 대표단은 AI 활용 방안과 자국의 농식품 혁신 사례를 공유했고 한국은 농촌 활성화, 청년 농업인 육성, 식량 접근성 향상 등의 의제를 중점 제시했다. 또한 한국은 회의 기간에 중국·일본·베트남·말레이시아 등과 양자 회담을 열어 K푸드 시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는 200여 명의 각국 대표단이 참석했는데 공식 만찬에서 한국의 전통주와 전통주 칵테일을 선보여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