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전반이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민간 소비가 다소 개선되고 반도체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미국과의 통상마찰에 따른 고율 관세 부담이 수출 전망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7일 발표한 ‘8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에 주로 기인하여 낮은 생산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소비 여건은 부분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반도체 중심의 선제적 수출 효과가 축소되고 관세 인상의 영향이 본격화될 경우 수출이 둔화될 위험이 높다”고 밝혔다.
6월 전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지만, 건설업 생산은 여전히 -12.3%를 기록하며 큰 폭의 감소세를 이어갔다. 실제 건설투자는 1분기 -13.3%에 이어 2분기에도 -11.7%로 급감했다. 건축부문(-10.3%)은 낙폭이 다소 줄었지만 토목 부문(-17.0%)은 오히려 부진이 심화됐다. 이에 대해 KDI는 “건설 수주와 착공면적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PF 시장이 여전히 위축돼 있고 안전 관리 강화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있어 회복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수출은 7월 기준 전년 대비 5.9% 증가해 6월(4.3%)보다 개선됐지만, 반도체(31.6%)와 선박(107.6%)에 의존한 기저효과에 가까운 성장이라는 것이 KDI의 평가다. KDI는 “AI 수요 확대로 대만과 아세안 지역에서 미국향 반도체 수출이 늘면서 이들 국가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한국 반도체 수출도 동반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 인상에 대비한 ‘선제 출하’에 따른 일시적 효과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실제 반도체·선박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5월 -3.2%, 6월 -2.4%, 7월 -2.0%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KDI는 “앞으로 선제적 수출 효과가 줄어들면서 수출 둔화 가능성이 높다”며 “고율 관세는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부진했던 소비는 점차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7월 소비자 심리 지수는 110.8로 전월(108.7)보다 상승했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도 소비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6월 기준 승용차 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로 15.4% 급증했지만, 기타 품목이 부진해 전체 소매판매는 0.1% 증가에 그쳤다. KDI는 “가계대출 금리 하락세와 소비쿠폰 지급이 소비 여건을 점차 개선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숙박·음식점업(-2.7%) 등 서비스 소비 부문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한편 고용시장도 여전히 침체된 모습이다. 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8만 3000명 늘었지만, 전월(24만 5000명)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특히 제조업(-8만 3000명)과 건설업(-9만 7000명)은 전년보다 취업자가 줄어들며 고용 악화가 두드러졌다. 20대 청년층의 고용률(60.5%)과 경제활동참가율(64.0%)도 동반 하락했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전월(2.2%)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근원물가도 2.0% 상승에 그쳤고, 기대인플레이션도 2.5%로 안정세를 보였다. 다만 KDI는 “소비쿠폰 효과로 수요 측 물가 하방 압력이 축소될 수 있다”며 향후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