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 계획 수립을 위한 전담 TF를 구성한다.
경기도는 5일 도청에서 김동연 지사 주재로 현안대책회의를 열어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고 반환 공여지가 있는 의정부, 동두천, 하남시 등 기초지자체가 참여하는 '경기도 반환 공여지 개발TF'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일 국방부에 경기북부 미군 반환기지 처리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TF는 공여지 개발 계획 검토부터 실행에 필요한 정책과 제도 특례 등을 파악하면서 정부나 국회 등과 협의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김 지사는 "대통령께서 경기북부 미군 반환 공여지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보여 우리 경기도로서는 정말 좋은 기회"라고 반색했다.
그러면서 "공여지 개발은 주도성, 전향성, 지역중심을 3대 원칙으로 하겠다"며 "경기도가 주도해 할 일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경기연구원 등이 지역별 테마를 만들어 특화된 개발방안을 만드는 전향적인 자세로 임하고, 지역 주민의 바람과 지역의 특성 등을 중점으로 개발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의 새로운 전기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했으면 좋겠다"며 "이제까지 우리가 접근했던 다소 수동적이고 중앙 의존적인 그런 관점에서 탈피해 완전히 판을 바꾸는 그런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김 지사는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상황과 일상회복지원금 지급 추진 등을 점검하며 “돈 쓰는데 기왕 쓸 거면 빨리 쓰는 게 좋다. 이런 저런 조건을 달고 하는 게 이번에 피해현장에서 보니 불필요한 일 같다. 부지사나 나한테 보고하면 바로 사인해 줄 테니까, 피해 본 사람 입장에서 보면 8월 20일이면 보름 뒤다. 지금 한시가 급한 사람들인데. 이런 게 적극행정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하도록 해 달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가평과 달리 특별재난지역에서 빠진 포천이 추가 지정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지사는 "포천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해야 한다는 건의를 대통령께 드렸고 행정안전부 장관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기 때문에 조만간 결론이 날 것"이라며 "수해를 보신 도민에게는 일상회복지원금을 지급하도록 오늘 결정했다"고 알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