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중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인공지능(AI) 정책 수장들이 국내에 모여 협력 강화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배경훈 장관 주재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디지털·AI 장관회의를 최초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APEC은 아태 지역 21개 회원경제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지역 경제 협력체다.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는 역내 디지털·AI 장관급이 모여 글로벌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첫 회의다. 배 장관과 함께 장관급인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차관급인 중국 산업정보화부 차관, 일본 총무성 차관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회의를 통해 디지털·AI 분야에서 APEC 공동 비전을 담은 장관선언문을 채택한다. 미국·중국 등 AI 분야를 선도하는 주요 경제들이 AI 정책 방향에 합의한 것이며 APEC 차원의 협력을 구체화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회의는 ‘모두의 번영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디지털·AI 전환’을 주제로 혁신, 연결, 안전 등 3개 세션으로 나눠 이뤄졌다. 첫 번째 ‘도전과제를 해결하는 ICT·디지털·AI 혁신 활성화’ 세션에서는, AI 등 신흥 디지털 기술을 통해 경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 방안이 논의됐다. 회원경제들은 AI·디지털 정책과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보편적이고 의미있는 디지털 연결성 증진’ 세션에서는 APEC 역내 모든 시민이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체감하기 위한 연결성 증진 방안이 논의됐다. 디지털 격차 해소, 디지털 역량 강화, AI 기반 클라우드 및 차세대 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필요성이 공유됐다.
세 번째 ‘안전하고 신뢰에 기반한 디지털·AI 생태계 조성‘ 세션에서는 딥페이크와 허위정보 등 AI 기반 디지털 위협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각 회원경제는 이러한 위협을 완화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국제협력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배 장관은 “첨단 디지털 기술과 AI는 우리가 당면한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라며 “이번 장관회의에서는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는 각 회원경제의 정책적 노력과 국제적인 협력 방향을 함께 모색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보편적이고 의미있는 디지털 연결성을 확대하는 방안과 함께 안정적인 디지털·AI 생태계를 조성해나가기 위한 방향도 중점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라며 “APEC 회원경제들이 가진 다양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과 연결성, 생태계를 아우르는 협력의 방향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