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이 10월 ‘4중전회’를 열고 차기 5개년의 주요 국정운영 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최근 일각에서 8월 말 4중전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후계자를 지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던 만큼 이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30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공산당은 이날 시진핑 총서기(국가주석) 주재로 중앙정치국 회의를 열고 10월 베이징에서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20기 4중전회)’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주요 의제는 중국의 15차 5개년계획 문제를 다룰 예정이라고 중앙정치국은 밝혔다. 중국은 14차 5개년계획(2021∼2025년)을 올해 마무리하고 차기 주요 국정운영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중국공산당은 이날 회의에서 “15차 5개년계획 기간 중 사회경제 발전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등 ‘세 가지 대표’ 중요 사상, 과학 발전관을 견지하며 시진핑 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관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국내외 어려움을 극복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최근 중국 안팎에서 불거졌던 ‘시진핑 퇴진설’을 의식한 언급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공산당은 5년 단위로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개최한다. 시진핑은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했고 차기 당대회는 2027년 열린다. 중앙위원회를 구성해 매년 한 차례 이상, 임기 5년간 총 7번의 회의를 소집한다. 중앙위원회는 중국 내 최고 권력 기구로 외교·국방·경제·사회 등 모든 정부 사무를 지도한다.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를 줄여 중전회라고 칭하는데 지난해 7월 열린 3중전회가 임기 내 주요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회의였다면 4중전회는 공산당의 발전 방향 및 인사 문제 등을 논의한다.
최근 일각에서 시진핑의 권력 약화설을 제기하며 8월 초 열리는 공산당 전·현직 지도부의 비공식 회의인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후계자를 정하고 8월 말 4중전회를 개최해 후계자를 확정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하지만 10월 4중전회 개최가 확정된 만큼 총서기인 시진핑 주석이 9월 초 전승절에 해외 정상들을 맞이하며 국가 지도자로서 굳건한 입지를 대내외에 알릴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