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친여 성향 유튜버 김어준씨의 '뉴스공장'과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세 곳을 대통령실 공식 출입 기자단에 포함시켰다.
대통령실은 24일 유튜브 채널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김어준의 뉴스공장',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3개 매체를 대통령실 정규 기자단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두 친여 성향 지지자들이 주로 시청하는 매체로, 여권 내에서도 특히 이재명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방송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실은 이날 오전 출입 기자단 간사에게 이 같은 사실을 통보하고 각 매체 소속 기자 1명씩 총 3명을 대통령 일정과 메시지를 사전 공유하는 기자단 단체 대화방에도 포함시켰다. 대통령실은 "지난 정부에서 자의적으로 배제됐던 한국인터넷기자협회를 복권하며, 해당 협회에 소속된 등록 요건 충족 매체 3곳이 출입을 신청해 등록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90여 개의 인터넷 매체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이번 등록 과정은 기존 언론 출입 절차와 비교해 이례적인 방식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통상 중앙정부 기관에 신규 매체가 출입할 경우 기자단과 사전 논의를 거치지만 이번에는 대통령실이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사전에 출입 신청을 공고하거나 공개적으로 기준을 안내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정 매체를 골라서 기자단에 포함시켰다는 말이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 운영 기준에 따라 이뤄진 결정"이라고 밝혔지만 논란이 커지자 추후 출입 기자 간사단과 협의해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책임 있는 1인 미디어에게도 동등한 취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밝혀왔으며, 실제 대선 기간 중 김어준의 뉴스공장, 이동형TV 등 자신에게 우호적인 유튜브 채널에 수차례 출연했다. 대통령실 출입 기자단에 포함된 김어준 씨는 전날 유튜브 방송에서 "강선우 의원을 사퇴시킬 만한 사건은 없다"며 "언론이 강선우가 아니라 이재명을 겨냥한 것"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출입 매체 기준을 완화하려면 야권 성향 유튜브에도 동등한 기회를 주는 것이 맞다"며 "이번 결정은 언론의 감시·비판보다는 정권 친화적인 매체를 우대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청와대 출입기자 수는 김대중 정부 당시 100명 미만이었으나 참여정부 때 300명 수준으로 대폭 늘었다. 참여정부 이전에는 인터넷 매체는 물론 외신기자들조차 정례 브리핑에 참석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언론 지형이 민주 진영 정치인에게 불리하다는 입장을 밝혀온 만큼, 이번 결정 역시 대안매체를 통한 우호 여론 확산 전략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일각에선 문턱을 낮추더라도 일정 수준의 취재 경력과 책임 있는 보도를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