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다. 정부가 총 13조 2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푸는 데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다만 쿠폰 사용처 제한 가능성에 업계의 표정은 엇갈리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마트(139480) 주가는 지난 1일 전 거래일보다 9700원(11.36%) 급등한 9만 5100원에 장을 마쳤다. 롯데지주(004990)(8.45%) BGF리테일(282330)(4.30%) GS리테일(007070)(2.64%) 등 관련주들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정부의 내수 부양 의지가 주가를 밀어 올렸다. 이번 추경으로 국민 1인당 15만 원에서 50만 원 상당의 소비 여력이 생긴다. 앞서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4년 만에 최고치인 108.7을 기록하는 등 소비 심리가 개선되던 차에 기름을 부은 격이다.
최대 수혜처로는 단연 편의점이 꼽힌다.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골목 상권 곳곳에 자리한 편의점 매출이 크게 늘었던 학습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 출점 포화 등으로 12년 만에 분기 매출 역성장을 기록하며 부진을 겪던 터라, 이번 소비쿠폰이 실적 반등의 마중물이 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반면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사용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커 직접적인 수혜를 보기 어렵다. 업계에서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전반적인 소비 심리 개선에 따른 낙수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5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됐던 2021년 당시, 사용처에서 제외됐던 백화점 매출은 오히려 24.1% 급증했다.
증권가는 이번 추경이 유통업 전반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서현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내수 진작을 위한 추경 집행은 하반기 소매판매 시장 성장률을 5% 높일 수 있는 큰 규모”라며 “유통업의 추가적인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경안 처리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 2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의결했다. 당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분담하기로 했던 예산은 재정 상황이 열악한 지자체 부담을 덜기 위해 중앙정부가 100% 부담하는 것으로 수정됐다. 추경안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르면 3일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