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인구 감소 시대에 대응해 4대 권역별 미래도시 발전 전략을 마련했다.
도는 1일 도청에서 도시정책 마스터플랜 최종보고회를 겸한 '2045 미래도시 비전' 선포식을 열고 경남 전역의 공간 구조를 광역생활권 중심으로 재편하는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의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발표된 최종 계획은 경남 전역을 4개 광역생활권으로 나누는 게 핵심이다. 권역별로 지역 특성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반영한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등 향후 20년을 내다보는 경남의 공간정책 청사진을 담았다.
우선 창원·김해·양산·밀양·창녕·함안 등 6개 시군으로 구성된 동부권은 원전·방산·수소 등 주력산업 성장과 산학연관 협력기반의 전문인력 양성 등을 기반으로 한다. 동부 광역생활권은 경남 행정·정치 중심지면서 제조업을 주력산업으로 하는 경제 중심지인 만큼 제조업과 함께 첨단산업을 키우면서 인재를 육성해 부울경 미래성장을 주도하는 '첨단혁신 거점권'(Brain Region)을 동부 광역생활권 미래상으로 제시했다.
서부권(진주·사천·의령·남해·하동)은 ‘미래공간혁신권’으로 조성한다. 이 지역은 지난해 5월 사천시에 개청한 우주항공청을 발판으로 우리나라 우주항공산업 중심지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통영·거제·고성으로 구성된 남부권은 해양산업·관광콘텐츠를 중심으로 미래로 확장하는 ‘해양경제중심권’으로, 지리산과 덕유산 등을 끼고 있는 북부권(거창·산청·함양·합천)은 개발과 보전의 지혜로운 공존을 콘셉트로 치유·휴양도시 및 신중년 골든시티 등을 조성하는 ‘녹색미래발전권’으로 육성한다.
이날 기조발표자로 나선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경남이 도 단위 최초로 생활권 중심의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한 점은 도시계획의 모범사례”라며 “이는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주도의 공간정책으로 전환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는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을 기반으로 시군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생활·산업·교통·환경 등 도시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특히 광역 단위의 공간계획 수립을 통해 중장기적인 지역균형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는 미래형 도시전략을 지속적으로 보완·실행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