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책 이전까지 신혼부부 등 생애 최초 주택 매수자 가운데 3분의 1이 강남3구 등 ‘한강벨트’ 지역에 내집 마련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이 시행되면서 한강벨트로 쏠렸던 신혼 부부 등 첫 주택 매수 대기자들의 수요는 강북권으로 퍼져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가족과 친척, 지인 등에 돈을 빌리는 사금융이 활성화 돼 ‘한강벨트’ 입성을 포기하지 않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3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통해 5월 생애최초 집합건물(아파트·상가) 매수자들이 선택한 지자체를 분석한 결과 총 5961명 중 32.7%가 강남3구와 마포·용산·성동(마용성), 동작구와 강동구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풍부한 대출 금액을 바탕으로 가격 상승 폭이 큰 상급지를 선택한 흐름이 나타난 셈이다. 이 중 송파구가 357명으로 가장 많았고 △마포구 285 △강남구 257 △강동구256 △동작구 249 △성동구238 △서초구 197 △용산구 116 순이었다.
하지만 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이 시행되면서 생애최초 매수자들의 한강벨트 진입 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기존까지는 20억 원의 집을 매수하기 위해서는 규제지역인 강남의 경우 최대 10억 원의 주담대 대출이 가능했다. 6·27 대책이 시행되며 주담대 한도가 6억 원으로 급감하면서 14억 원의 현금 보유자만이 20억 원 집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이에 한강벨트를 벗어난 강북권으로 매매 수요가 번질 수 있다는 ‘풍선효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주택은 생종권의 문제이므로 대출 규제가 시행된다고 해서 집을 살 사람들이 전월세 수요로 빠지는 비율은 그리 크지 않다”면서 “다만 대출 금액이 줄었으니 한강벨트 같은 상급지에서 중하급지로 매매 수요가 번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6억 원 대출 한도와 LTV 70%를 적용해 이전보다 대출액이 줄어들지 않으려면 아파트 평균 가격이 8억5000만원을 하회해야 한다. 25개 자치구 중 평균 거래 금액이 8억 5000만원 이하인 곳은 노원·도봉·강북(노도강)과 금천·관악·구로(금관구), 중랑구 등 7개 지역이다.
다만 대출 규제로 인해 학군 등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강북권으로 수요가 급격하게 옮겨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사금융 시장이 활성화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내놓고 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상급지 입성을 꿈꾸던 사람들이 대출 규제가 생겼다고 중하급지로 눈길을 돌리지 않을 수도 있다”며 “가족과 친척, 지인 들을 통해 자금을 빌려 아파트를 매수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