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둔화로 침체 국면에 들어선 2차전지 업종이 당분간 반등 흐름으로 들어서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유럽·인도에서의 판매량 증가가 기대돼 주가도 우상향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NH투자증권은 21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미국 전기차 시장은 구매세액공제 폐지와 관세 부과에 따라 실구매 가격이 인상돼 2026년까지 수요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미국의 하락세 리스크를 더 많이 우려하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보수적 전망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친환경차 대상 각종 혜택을 줄이면서 관련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책 리스크까지 커져 단기적으로는 시황 반등이 어려울 수 있다.
다만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유럽과 전기차 시장이 개화 중인 인도를 중심으로 2차전지 업황은 반등할 수 있을 전망이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럽은 탄소 규제에 따른 벌금을 회피하고자 2025∼2027년 연평균 20% 내외의 전기차 판매 증가가 필요해 국내 업체들의 유럽 실적이 꾸준히 개선될 전망”이라며 “인도는 전기차 침투율이 2% 미만이지만 미국과의 무역 협상 과정에서 관세 등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하반기부터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미·중 무역 분쟁이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2차전지 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진명·김명주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탈중국 노선은 중국산 배터리 관세 부과로 더욱 강화돼 국내 업체들의 경쟁 우위가 예상된다"며 "특히 중국산 점유율이 87%인 ESS(에너지저장장치)용은 향후 비중국산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